-
📌 2025 부동산 세금 가이드 – 양도세, 취득세, 종부세 완전 정리부동산 2025. 4. 15. 22:01
📌 2025 부동산 세금 가이드 – 양도세, 취득세, 종부세 완전 정리
💰 부동산 세금, 왜 중요할까?
부동산에서 실수보다 무서운 건 세금 실수예요.
특히 집을 사고 → 보유하고 → 팔 때까지
양도소득세, 취득세, 보유세(종부세/재산세) 등
단계마다 각기 다른 세금이 붙기 때문에
전략적 세무 계획이 필수입니다.
🧾 2025 기준 부동산 세금 총정리표
세금 종류과세 시점주요 기준비고취득세 매수 시 주택 수 + 지역 + 가격 중과세율 존재 재산세 매년 6월 1일 기준 공시가격 기준 지방세 종합부동산세(종부세) 매년 6월 1일 기준 고가주택 보유 시 1주택자 완화 적용 양도소득세 매도 시 보유 기간, 실거주 여부 비과세 조건 중요
🏡 ① 취득세 (집 살 때)
- 1주택자: 1~3.5% (집값에 따라 차등)
- 2주택 이상자: 중과 적용 (최대 12%)
- 무주택 생애최초 구매자: 일부 감면 (1.1% 등)
✔️ 규제지역/비규제지역 여부 + 주택 수 꼭 체크!
🏠 ② 재산세 & 종부세 (보유 시)
🔸 재산세
- 공시가격 기준
- 6월 1일 현재 보유자에게 부과
- 일반주택: 연간 0.1% ~ 0.4%
🔸 종합부동산세
- 공시가격 총합 12억 초과 (1주택자 기준)
- 2023년부터 1주택자에 대한 세율 완화
- 다주택자 여전히 중과세율 유지
✔️ 다주택자는 합산 공시가격 9억 이상부터 종부세 유의!
🏘️ ③ 양도소득세 (팔 때)
구분기본 세율추가 세율1주택자 6~45% 장기보유특별공제 적용 가능 2주택자 이상 20~75% 중과세 적용 분양권 45% 고정 실거주 X 시 중과 ✅ 비과세 조건 (1세대 1주택)
- 2년 이상 보유 + 2년 이상 실거주
- 실거래가 12억 원 이하 → 양도세 전액 면제
💡 2025년에도 1세대 1주택 비과세 기준 유지
다만, 입주권/분양권 보유 여부 주의 필요!
💡 실전 절세 전략 팁
- 실거주 조건 충족 후 매도
- 공시가격 조정기간(6월 이전) 전 매수
- 분할 매도 또는 증여로 절세
- 부부 공동명의 활용 → 종부세 분산 가능
✅ 오늘 요약
항목핵심 정리취득세 주택 수에 따라 중과세 적용 가능 재산세 공시가 기준 매년 7월 부과 종부세 1주택자 기준 완화, 다주택자는 중과 지속 양도세 실거주+2년 이상 보유 시 비과세 가능 절세전략 보유·매도 시점 계획 필수!
🙋♂️ 마무리 한마디
세금은 투자의 수익률을 뒤흔드는 핵심 변수입니다.
같은 집, 같은 가격이라도
보유 방식과 매도 시점에 따라
수천만 원의 차이가 날 수 있어요.2025년에도 정책이 예고 없이 바뀔 수 있는 만큼,
최신 세율과 해석을 기준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👉 다음 편 예고: "소형 오피스텔·상가 투자 전략 – 임대수익 vs 시세차익"
'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📌 전월세 투자 전략 – 역전세 리스크를 기회로 바꾸는 법 (0) 2025.04.15 📌 2025 오피스텔·상가 투자 전략 – 임대수익 vs 시세차익 (0) 2025.04.15 📌 실거주 요건 정리 & 입주권 투자 시 유의할 점 (0) 2025.04.14 📌 2025 청약 전략 총정리 – 가점제, 추첨제, 특공 완전 해부! (0) 2025.04.14 📌 2025 재건축/재개발 투자 전략 총정리 (0) 2025.04.14